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scottlang

RAID Write Back / Write Through Cache 차이점 본문

Server

RAID Write Back / Write Through Cache 차이점

Scottlang 2020. 6. 15. 18:25
728x90

일반적으로 OS에서 파일을 생성 또는 복사, 이동등을 해당 디스크로 명령 내린다면


Through : 시스템메모리 -> 보드 -> RAID카드 -> 디스크

Back : 시스템메모리 -> 보드 -> RAID카드 -> RAID Cache -> 디스크

 

Cache라는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오히려 느려지는 것이 아니냐 생각할 수 있지만.
Cache는 데이터 전송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가속기능이 아니라 반복되는 같은 내용을 새로이 시스템메모리나 기타 다른 매체에서 가져오지 않고 RAID Cache내에서 검색을 한후에있으면 곧바로 디스크에 저장을 하는 버퍼 역할 을 하는 것이다.

언제나 새로운 데이터만 디스크에 저장을 한다면 Cache는 불필요할 것이고
새로운 데이터 이외에도 중복되는 경우가 있다면 Cache는 큰 힘을 발휘할 것이다.

 

1. Write Back
- 데이터가 캐쉬에 도달하면 호스트(PC 또는 OS)에 전송완료신호를 보낸다.

2. Write Through
- 데이터가 캐쉬를 통과하여 실제 디스크에 쓰여지면 호스트에 전송완료신호를 보낸다.

위에서 보면 데이터는 전송완료신호를 받아야 다음 데이터를 전송한다

 

 Write Back은 그 전송완료신호 타이밍이 빠르기 때문에 Write Through 보다 성능이 좋다.

단점이라고 본다면 보안상 문제인데 실무에서는 거의 문제가 없다고 본다.

그래서 Write Back을 많이 사용한다. 단, Write Back은 디스크에 실제적으로 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데이터전송완료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쓰기 도중에 시스템 전원이 나갈 경우에는 캐쉬에 있는 내용이 디스크에 정상적으로 쓰여지지 못하고 호스트에서는 정상적으로 전송이 완료된 것으로 오판을 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으로 보완하기 위해서 근래에는 거의 대부분의 RAID시스템에는 Battery가 내장되어 있어 일반점으로 DRAM의 특성인 Refrash 전원이 공급이 되지 않으면 메모리내용이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장된 배터리가 전원인가가 되지 않은 정전 상태에서 캐쉬메모리에 Refrash 전원을 공급하여 적게는 24~72시간 동안 캐쉬의 데이터 내용을 저장하여 둔다.
전원이 다시 들어오게 되면 디스크가 Spin-Up을 끝내는 즉기 캐쉬에 있던 쓰기 내용을 전송하게 된다.

Write Through는 신뢰성이 강하므로 SAN이나 NAS, DAS등의 외장형 스토리지들이 오래전에 많이 사용하였으며 근래에는 시스템 성능을 우선시하며 안정성은 옵션이나 기본으로 탑재된 Cache 배터리를 이용하여 Write Back이 많이 사용된다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LL NVMe PCIe ssd Slot  (0) 2020.06.17
DELL OMSA CLI Raid 구성  (0) 2020.06.17
QPI link L1 Power management  (0) 2020.06.17
P-states & C-state  (0) 2020.06.15
DELL IDRAC(IPMI) Reset  (0) 2020.06.15
Comments